36 0 0 5 0 0 3일전 0

통제는 생산을 지배한다

당신은 어떤 기업이 세계를 지배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애플? 구글? 테슬라? 아마 당신의 머릿속에는 그들이 만든 스마트폰, 전기차, 검색엔진, AI 기술이 먼저 떠오를 것이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이렇게 말하게 될 것이다. “그들은 뛰어난 제품을 만들었기에 성공했다.” 그 말은 분명 사실이지만, 진실의 전부는 아니다. 역사의 이면에는 항상 흐름을 장악한 자가 있었다. 눈에 보이는 생산이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통제를 손에 쥔 자들 말이다. 20세기 초, 철강왕 앤드류 카네기가 있었고, 석유왕 존 D. 록펠러가 있었다. 그러나 그들을 진짜 왕으로 만든 건 철강이나 석유 그 자체가 아니었다. 카네기는 철강을 생산한 것이 아니라, 미국 전역의 철도 건설 흐름을 읽고, 그 수요를 지배..
당신은 어떤 기업이 세계를 지배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애플? 구글? 테슬라?

아마 당신의 머릿속에는 그들이 만든 스마트폰, 전기차, 검색엔진, AI 기술이 먼저 떠오를 것이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이렇게 말하게 될 것이다. “그들은 뛰어난 제품을 만들었기에 성공했다.”
그 말은 분명 사실이지만, 진실의 전부는 아니다.

역사의 이면에는 항상 흐름을 장악한 자가 있었다.
눈에 보이는 생산이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통제를 손에 쥔 자들 말이다.

20세기 초, 철강왕 앤드류 카네기가 있었고, 석유왕 존 D. 록펠러가 있었다.
그러나 그들을 진짜 왕으로 만든 건 철강이나 석유 그 자체가 아니었다.
카네기는 철강을 생산한 것이 아니라, 미국 전역의 철도 건설 흐름을 읽고, 그 수요를 지배한 사람이었다.
록펠러는 원유를 캐지 않았다. 대신 그는 정제소와 송유관, 유통 시스템을 장악하여
그 누구보다 더 넓고 깊게 석유의 흐름을 장악했다.

우리는 종종 생산하는 자가 세상을 바꾼다고 믿지만,
진짜 역사를 바꾼 자는 언제나 그 생산을 가능하게 한 구조를 설계하고, 흐름을 통제한 자였다.

이것은 단지 과거 산업사에만 해당되는 이야기가 아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세상은 똑같은 논리로 움직이고 있다.

당신은 아이폰을 매일 들여다보며 애플이 세상을 지배한다고 느낄지 모른다.
비록, 그 아이폰의 두뇌인 칩은 대만의 TSMC가 만들고 있고,
그 위에서 작동하는 AI는 엔비디아의 GPU 위에서 돌아가지만,
그 아이폰 안에서 돌아가는 앱은 모두 애플이 설계한 플랫폼 구조 안에서만 허용된다.
사용자와 개발자는 ‘선택’한다고 느끼지만,
사실 그들은 애플이 만들어 놓은 선택지의 지도 안에서만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바로 이 지점에서 출발한다.
“우리는 과연 무엇이 세상을 지배하고 있는지를 제대로 보고 있는가?”

나는 기업을, 기술을, 산업을 연구하면서 하나의 공통된 패턴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것은 생산의 성공보다 더 강력한 것이 항상 존재했다는 점,
즉 ‘흐름’과 ‘구조’를 통제한 자가 결국 시장과 권력을 쥐었다는 사실이다.

이 책 『통제는 생산을 지배한다』는 이러한 관점에서 세계의 산업 구조를 재해석한다.
단순히 성공한 기업의 이야기가 아니라,
그들이 어떻게 구조를 설계하고 흐름을 장악했는지,
그 흐름 위에서 다른 기업들과 시장 전체를 어떻게 재편했는지를 살펴본다.
수년간 대기업에서 근무하며 산업의 복잡한 구조를 몸으로 체득했고, 이후 다양한 사업을 직접 운영하며 시장의 표면 아래에 숨겨진 진짜 흐름을 마주하게 되었다. 유통, 제조, 기술, 콘텐츠, 투자까지 — 이름은 다르되 본질은 같은 수많은 기업을 경험하며 그는 비즈니스라는 거대한 게임의 규칙이 결국 어디에서 결정되는가를 고민했다.

그는 단순히 제품을 만드는 기업이 아닌, 그 흐름을 조율하고 구조를 설계하는 이들에 주목했다. 생산보다 중요한 것은 흐름이었고, 흐름보다 강력한 것은 통제였다.
『통제는 생산을 지배한다』는 바로 그가 직접 경험하고 관찰하며 얻은 통찰의 정수다.

이 책은 단순한 산업 분석이 아니다.
그것은 ‘보이지 않는 손’이 어떻게 실물과 권력을 장악하고,
누가 진짜 세상의 구조를 설계하고 있는지를 파헤치는
한 사업가이자 구조 독해자의 기록이다.

지금도 그는 현실 속에서 끊임없이 사업을 실험하며,
통제와 생산, 권력과 설계의 진짜 상호작용을 탐색하고 있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